더플랫폼은 2017년 송상현, 박경서, 라종일, 현병철회원을 주축으로
지식인들의 담론의 장(場)을 만들자는 합의 하에, 그 뜻을 같이 하는 40여명의 회원들과 함께한 첫 모임에서 시작하였다.
그 자리에서 송상현회원은 발기인들을 대표하여 더플랫폼은 보편적 인권, 정의, 평화, 자유민주주의, 시장경제,
법치주의의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통합지성의 플랫폼 구축을 목적으로 할 것을 발의하였다.
2020년
- 1월 29일
-
창립 2주년 기념 대토론회
「KOREA FORWARD 2020 & BEYOND」
- 2월 5일
-
「21세기 적십자 운동」(박경서)
「코로나바이러스」(이해영)
- 5월 6일
-
「21대 국회의원 선거의 정치적 함의」(강원택)
- 6월 3일
-
「북한군의 6‧25인식 및 전쟁 관점」
「북한 경제의 딜레마」(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북한연구실)
- 7월 1일
-
「한국경제의 그레이스완(Gray Swan)」(정순원)
- 8월 5일
-
「동아시아 기억공동체, 연대와 공생의 기억은 가능한가?」(임지현)
- 10월 7일
-
「바이러스의 공격과 우리의 대응」(홍윤철)
- 11월 4일
-
「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시대의 교육」(이주호)
2019년
- 1월 22일
-
창립 제1주년 기념 대토론회
주제「갈등을 넘어 통합으로」
특강「사회적 갈등 조정의 경험과 소회」(김지형)
- 2월 12일
-
「2019년 한국경제의 주요 이슈와 전망」(하태형)
- 3월 12일
-
「3.1 독립선언과 오늘의 과제」(이우근)
- 4월 9일
-
「포스트하노이 북핵교섭의 향방」(신각수)
- 5월 14일
-
「미세먼지의 정책적 대응방안」(김숙)
- 6월 1일~2일
-
안동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방문(김병일 회원 안내)
「리더의 바람직한 삶, 선비 정신이 하나의 대안」(김병일)
「전통문화와 한류」(최광식)
- 6월 11일
-
「한일관계의 역설」(라종일)
- 7월 9일
-
「인간생명의 존엄성과 윤리적 선택」(이동익)
- 9월 4일
-
「국회는 왜 "일"하지 않는가」(김형오)
- 10월 2일
-
세미나에 참석한 회원들의 결의에 따라 단체의 공식명칭을
"The platform for Tomorrow"로 확정함
「Back to the Fundamentals」(김종량)
- 10월 9일
-
성북동 가구박물관 및 성지원 방문(최광식 회원 안내)
- 11월 6일
-
「일본 리스크와 격랑 속의 한일관계」(박철희)
- 12월 4일
-
「국제질서의 지각변동과 한국의 과제」(송상현)
2018년
- 1월 23일
-
창립총회
단체의 명칭을 “The Platform”으로 정함
「4차 산업사회와 AI」(김진형)
- 2월 13일
-
「4차 산업혁명과 세계경제」(정갑영)
- 3월 13일
-
「현대사회와 불교」(송석구)
- 4월 10일
-
「북핵 위기와 남북, 북미정상회담」(윤영관)
- 5월 15일
-
「기본으로 돌아가자」(손병두)
- 6월 12일
-
「한류(韓流)」(최광식)
- 7월 10일
-
「6.12 미북정상회담 이후 비핵평화 전망과 과제」(신각수)
- 9월 11일
-
「근로시간 및 최저임금으로 본 노동정책의 변화와 과제」(박지순)
- 10월 16일
-
「4차 산업혁명시대의 리더십」(이경숙)
- 11월 13일
-
「기후변화 및 에너지위기와 기회」(조환익)
- 12월 18일
-
「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이후 비핵화 외교」(윤영관)
2017년
- 9월 27일
-
발기인 모임
- 11월 23일
-
「탈원전 정책의 문제점」(윤남근)
「원자력 에너지와 안전성」(임지순)
- 12월 27일
-
「급변하는 국제통상환경과 한국에의 함의」(최석영)